올해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박남규 교수...태양전지 최초 개발
||2024.07.07
||2024.07.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올해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광흡수 물질을 이용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 높은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최초로 개발하며 태양전지 기술 패러다임을 바꾼 공로를 인정받았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사면체나 팔면체 또는 입방체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물질로 부도체나 반도체, 도체, 초전도 현상 등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박 교수는 2011년 선행연구에서 찾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화합물이 빛을 잘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에 착안해 2012년 표준 태양광 조건에서 9.7% 효율로 50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그해 발표한 관련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4월까지 8300회 이상 인용되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포토볼타익스(광전지)란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관련 논문을 토대로 박 교수는 학술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선정한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2017년부터 7년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박 교수는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수상자 브리핑에서 "중차대한 기후 위기를 맞닥뜨리고 있는데 과학자들이 신재생 에너지 연구에 더 박차를 가하고 열심히 해달라는 취지에서 상을 준 것으로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2050년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서는 태양전지 용량이 약 75테라와트(TW)가 요구되는데 2020년에 겨우 1TW를 만들었다"며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앞으로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와 효율을 계속해 높이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