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 관저 앞에 모여 "대선 출마해달라" 요구
||2025.04.09
||2025.04.09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윤 전 대통령에게 '대선 재출마'를 촉구했다.
자유대학 등 탄핵 반대 단체는 윤 전 대통령 파면 닷새째인 8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 어게인(Yoon Again)' 집회를 열고 관저 앞까지 행진했다.
참가자 1000여명(경찰 비공식 추산)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탄핵 무효", "부정선거 수사하라", "CCP(중국공산당) 아웃", "윤카(윤석열 대통령) 어게인" 등 구호를 외쳤다.
연단에 오른 박준영 자유대학 부대표는 "부정선거 의혹과 중국의 하이브리드전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뿐"이라며 "우리는 끝까지 함께 걸을 테니 제발 다시 한번 (대선에) 나와달라"고 호소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이날 오전에도 관저 앞 등지에 집회를 신고하고 모였지만 참가자는 많지 않았다.
자유대한국민연대는 이날 오전 11시 관저 인근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집회 인원을 500명으로 경찰에 신고했지만, 직접 찾아가 본 현장에는 유튜버 등 약 10명이 나오는 데 그쳤다.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자유통일당 역시 오후 1시 관저 인근에서 1만명 규모의 집회를 열겠다고 신고했지만, 행사는 취소됐고 현장에 참가자는 없었다.
경찰은 "자유통일당 측이 늦게라도 집회를 열겠다고 했지만, 결국 오후 들어 취소했다"고 전했다.
이들 집회는 윤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파면된 이후 관저 인근에서 처음으로 신고된 평일 집회다.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관저 퇴거가 예상보다 지연되며 일부 지지자가 한남동으로 다시 모여드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이 대선 출마는 법적으론 불가능하다. 헌법재판소법 제54조 2항에 따르면 탄핵으로 파면된 사람은 선고일로부터 5년간 공무원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 대통령직도 공무원에 해당하므로 윤 전 대통령은 2030년 3월까지 대선 출마가 불가능하다. 또한 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대통령의 중임을 금지해 단임제를 엄격히 규정한다. 탄핵 여부와 관계없이 윤 전 대통령은 이미 대통령직을 수행했기에 재출마 자격을 갖출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내란죄 형사재판에서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될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피선거권도 박탈된다.
매일 보는 나만의 운세 리포트! 오늘 하루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