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1번지가 사각지대로” .. 믿기 힘든 현실에 집주인들 ‘눈물만’, 대체 무슨 일이?
||2025.04.12
||2025.04.12
“청약 넣은 사람이 더 적다니, 이게 부산이라고?”
투자 1번지로 불리던 부산 부동산 시장이 믿기 힘든 침체에 빠졌다. 한때 ‘청약 열풍’의 중심이었던 도시가 이제는 미분양 아파트가 쌓이는 투자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한 집값의 문제가 아니다. 산업 쇠퇴, 청년 이탈, 지역 경제의 구조적 문제까지 얽히며 부산이 겪고 있는 부동산 시장의 위기는 전방위적인 ‘붕괴의 조짐’으로 번지고 있다.
한때 ‘투자 1번지’였던 부산 부동산 시장이 급랭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4월 6일 발표한 ‘2025년 2월 기준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부산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168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5.9%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누적 분양 물량도 전년 대비 65.5% 감소한 반면, 미분양 주택은 오히려 늘고 있다.
월 기준 부산의 미분양 물량은 4,565가구로 전달보다 39가구 증가했다.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도 2,261가구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은 청약 시장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지난 2일 마감된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공공분양주택 ‘아테라’의 경쟁률은 0.32대 1에 그쳤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아 가격 경쟁력이 있는 공공주택임에도 외면당한 것이다.
강정규 동아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금은 단순한 가격 문제를 넘어 구조적인 부동산 침체 국면”이라며 “지방 정부와 중앙정부가 함께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부산 부동산 시장의 위기는 단순히 수요 감소나 가격 문제로 설명되지 않는다.
지역 경제를 떠받치던 전통 제조업의 노후화, 첨단산업 전환 실패, 수도권 집중화, 대기업 부재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1990년대까지 무역과 제조의 중심지였던 부산은 더 이상 ‘산업 수도’가 아니다.
한국 100대 기업 중 본사를 부산에 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으며, 1,000대 기업 기준으로도 28개에 그친다. 반면 수도권은 반도체와 바이오, 플랫폼 산업으로 급성장하며 격차를 벌리고 있다.
청년층 이탈도 심각하다. 낮은 임금과 주거 비용 부담, 열악한 일자리 여건은 청년들을 수도권으로 몰아넣고 있다.
그 결과 생산연령 인구는 급격히 줄고 있으며, 이는 다시 지역 경제의 활력 저하와 부동산 수요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연구원 김세현 센터장은 “2050년까지 부산 인구는 33% 넘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생산 가능 인구 감소 폭이 서울보다 훨씬 크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부동산 한파는 지역 건설업계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중견업체는 물론, 부산에서 30위 안에 드는 대형 건설사들마저 연이어 법정관리 수순을 밟고 있다.
지난달에는 부산의 모 건설사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난을 이유로 부산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앞서 반얀트리 호텔 화재 사건의 시공사였던 삼정기업, 인프라 중심의 대저건설 등도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갔다.
부산의 한 건설사 임원은 “지금은 이자비용만 감당하는 것도 벅차다”며 “신규 수주는 언감생심이고, 대선 이후를 막연히 기다릴 뿐”이라고 토로했다.
부산 부동산 침체는 단순히 시장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 전체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조건으로 신산업 유치, 기술 기반 확대, 청년 일자리 창출, 수도권 의존 탈피 등을 꼽는다.
이영래 부동산서베이 대표는 “지금은 시장이 방향성을 잃은 상태”라며 “대선 이후 구체적인 부동산 공약이 제시돼야 관망세가 풀릴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