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대체 어려운 직업’ 큰 공통점 있다... 9년 전 예측 빗나가
||2025.04.13
||2025.04.13
인공지능(AI)이 직무를 대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직업으로 현재는 패턴사가, 3년 뒤인 2027년에는 물류사무원이 꼽혔다.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창의적 사고를 요구하는 직업군도 높은 대체율을 보였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표한 ‘인공지능에 의한 화이트칼라의 직무 대체 및 변화’ 보고서는 한국직업정보에 등록된 520개 직업을 대상으로 2024년과 2027년의 AI 직무 대체율을 분석했다.
2024년 기준 520개 직업의 평균 직무 대체율은 38.69%였다. 대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업은 프로게이머(0.00%), 가장 높은 직업은 패턴사(71.65%)였다. 3년 뒤에는 평균 대체율이 66.71%로 급등하며 최저치는 지휘자(3.23%), 최고치는 물류사무원(94.17%)으로 나타났다.
현재 패턴사처럼 정보와 데이터를 탐색·수집·분석·처리하거나 특성을 추정하는 직무가 AI 대체율이 높았다. 방송작가, 게임그래픽디자이너, 성우 등 창의적 사고로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만드는 직업도 생성형 AI의 영향으로 대체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프로게이머, 직업 운동선수, 선박조립원, 낙농종사원, 보일러설치·정비원 등 신체적 활동과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는 직업은 대체율이 낮았다.
3년 뒤에는 직업운동선을 제외한 519개 직업의 대체율이 모두 상승했다. 다만 대체율이 높거나 낮은 직업의 업무 특성은 현재와 비슷하게 유지됐다. 직업을 대체율에 따라 저위험(30% 미만), 중위험(30~70% 미만), 고위험(70% 이상)으로 나눴을 때, 고위험군은 현재 1개에서 226개로 늘었고, 저위험군은 120개에서 8개로 줄었다.
화이트칼라와 비화이트칼라를 비교하면 3년 뒤 화이트칼라 직업이 AI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을 가능성이 크다. 보고서는 화이트칼라 직무가 데이터 기록·수집·관찰·분석·평가 등 인지적 능력에 기반한다며 “이것이 AI의 강점과 맞아떨어진다”고 밝혔다.
현재 분석이 미래를 정확히 예측한다는 보장은 없다. 2016년 한국고용정보원은 406개 직업 중 콘크리트공, 정육원·도축원, 고무·플라스틱 제품조립원을 AI나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직업으로 꼽았다. 하지만 2024년 기준 콘크리트공(29.1%), 정육원·도축원(24.0%)은 저위험군에 속한다. 당시 대체 가능성이 낮다고 본 화 화가(56.2%), 조각가(31.3%), 사진작가·사진사(52.6%) 등 예술 직군은 현재 중위험군으로 분류되며, 신체적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이 오히려 대체 가능성이 낮게 평가된다.
매일 보는 나만의 운세 리포트! 오늘 하루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