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이러다 정말 문 닫는 매장 생기는 건 아닐까
||2025.05.01
||2025.05.01
이러다 정말 문을 닫는 홈플러스 매장이 생기는 것은 아닐까.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일부 매장 임대인에게 임대료 삭감 협상을 거부하면 임대계약을 해지하겠다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국경제가 1일 보도했다. 홈플러스가 제시한 협상 기한이 보름 앞으로 다가오자 압박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은 홈플러스가 처한 재정적 어려움과 부동산 시장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결과다.
매체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최근 13개 매장 임대인에게 임대계약 해지 예정 공문을 발송했다. 이 공문은 임대료 협상에 소극적인 임대인들을 겨냥해 기업회생 절차에 따라 요구한 임대료 삭감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홈플러스는 이 조치로 임대인들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려는 전략을 구사 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업회생을 신청한 뒤 약 한 달 만에 모든 매장 임대인에게 임대료 감액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모 부동산 펀드와 공모 리츠에는 35%, 사모 부동산 펀드와 사모 리츠에는 50% 감액을 요구했다. 협상 기한은 오는 15일까지로 정했다. 이 요구는 홈플러스가 재정 건전성을 회복하고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의 일환이다. 하지만 임대료 감액 규모가 크고, 임대인들의 재무 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다 보니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임대인들은 홈플러스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부분의 임대인은 '세일 앤드 리스백' 방식으로 홈플러스 매장을 인수해 임대료로 차입금 이자를 갚아왔다. 홈플러스가 요구한 임대료 삭감은 이자 상환에 즉각적인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홈플러스 매장을 기초 자산으로 한 펀드나 리츠에 투자한 투자자들도 손실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일부 임대인은 홈플러스와 협상을 아예 거부하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한국경제에 "홈플러스가 제시한 임대료를 기준으로 자산 가치를 평가해 매장을 인수했는데, 이제 와서 50%를 깎으라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임대료 협상에 응하지 않는 임대인들을 압박하기 위해 임대계약 해지라는 강수를 꺼냄에 따라 홈플러스 매장을 직접 보유하거나 이를 기초 자산으로 한 펀드와 리츠를 운용하는 임대인들의 고민이 깊어지게 됐다. 임대계약이 해지되면 매장 운영이 중단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는 임대인과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재무적 부담을 안길 수 있다.
한국경제에 따르면 현재 홈플러스 매장을 보유한 주요 임대인은 MDM자산운용(10개 매장),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8개), 이지스자산운용(4개), DL그룹(5개), 유경PSG(3개), 삼성SRA자산운용(2개), KB부동산신탁(2개) 등이다. 이들 임대인은 홈플러스의 요구와 자신들의 재무적 이해관계를 놓고 치밀한 계산에 들어갔다. 일부 임대인은 협상 대신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이 시장을 잠식함에 따라 오프라인 유통은 경쟁력을 잃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급성장과 소비 패턴 변화로 오프라인 유통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경영 위기를 겪는 홈플러스로선 운영 비용을 줄이고 자산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임대료 감액 협상이 실패하면 일부 매장의 문을 닫아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홈플러스 직원들의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고, 지역 상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홈플러스의 이번 조치는 기업회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으로 보이지만, 임대인들과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매장 폐쇄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홈플러스 측은 한국경제에 "공문을 보낸 것이 맞다"면서도 "협상이 진행 중이라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협상이 결렬될 경우 어떤 매장이 문을 닫을지, 그리고 그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홈플러스가 처한 상황은 유통업계 전반의 위기를 보여준다. 대형마트의 수익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홈플러스가 위기를 극복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매일 보는 나만의 운세 리포트! 오늘 하루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