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년 모아도 못 산다더니”… 강남 아파트의 숨겨진 ‘진실’ 밝혀지자 시장 ‘발칵’
||2025.05.18
||2025.05.18
최근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강남 3구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다른 지역은 되레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가 뚜렷해졌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정책 혼선 속에서, 반복되는 수상한 거래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부동산 시장을 충격에 빠트렸다.
서울시가 강남 3구를 포함한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해제한 것은 지난 2월 중순으로, 발표 이후 단 한 달 만에 서울시 아파트값 상승률은 0.06%에서 0.25%로 네 배 이상 뛰었다.
특히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강남은 0.08%에서 0.83%, 송파는 0.14%에서 0.79%, 서초는 0.11%에서 0.69%로 상승률이 급증하며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급등세는 전세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해제 발표 이후 전세가격지수가 동반 상승하며 매매뿐만 아니라 임대 시장까지 들썩이게 만들었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책이 반복적으로 바뀌면서 일부 지역에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평가하며, 일관성 없는 정책이 시장 불안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결국 서울시는 해제 발표 35일 만에 토허제를 재지정하며, 불확실성과 혼란만 가중시켰다.
그러나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당시 강남 일대에서는 이상 거래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거래가를 올려 신고한 뒤 며칠 지나지 않아 계약을 취소하는 일이 여러 번 이어졌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토허제 해제 직후인 2월 13일부터 3월 29일까지 강남·송파에서 취소된 매매 계약은 총 71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가락동의 한 아파트는 13억 4500만 원에 신고된 뒤 한 달도 안 돼 거래가 취소 처리됐고, 삼성동의 또 다른 고가 아파트도 37억 원 계약이 한 달 만에 해제됐다.
같은 단지에서 더 높은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진 점을 감안할 때, 인위적으로 거래가를 띄우려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자아낸다.
전문가들은 실거래가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으며, 서울시는 이에 대해 집중 점검을 예고했다.
이러한 가운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윤석열 정부 3년간 서울 아파트 시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강남 3구의 아파트는 2022년 5월 26억 2000만 원에서 2025년 4월 30억 9000만 원으로 18% 올랐고, 같은 기간 비강남권은 오히려 7% 하락했다.
이로 인해 서울 아파트 간의 격차는 2.3배에서 2.9배로 벌어졌다. 전국 아파트값이 평균 8% 하락했지만, 서울의 상승이 이 하락률을 둔화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경실련은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강남 30평 아파트를 사려면 74년 동안 일만 하며 한 푼도 쓰지 않아야 한다”며 정책적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