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원 계란 현실화되나” .. 심상치 않은 상황 펼쳐지자 주부들 ‘울상’
||2025.05.23
||2025.05.23
최근 장보기에 나선 주부들 사이에선 푸념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최근 들어 심상치 않게 오르고 있는 계란값 때문이다.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계란 가격에 서민들의 식탁이 위협받기 시작하자, 정부는 수급엔 문제가 없다며 가격 급등 배경에 ‘담합’ 가능성을 제기했다.
지난 19일 기준, 특란 30구의 전국 평균 소비자 가격은 7052원에 달하며 계란 한 판 가격이 8천 원을 넘볼 정도로 치솟았다.
특히 제주에선 7980원을 기록하며 ‘만원 계란’이라는 말이 현실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3개월 전보다 26%나 급등한 가격으로, 2021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사상 최대 가격 폭등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문제는 이런 급등세에 명확한 원인이 없다는 점이다. 보통 3월은 신학기 급식 수요로 계란 가격이 오르긴 하지만, 이번처럼 짧은 기간에 25% 넘게 뛰는 일은 이례적이다.
더군다나 생산량은 매달 증가 추세로, 1월부터 4월까지 매달 1억 개가 넘는 계란이 등급판정을 받았고, 5월도 그 수치를 넘어설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AI 여파로 국내 계란이 수출됐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 실제 수출 물량은 월평균 생산량의 0.06%에 불과해 영향력은 거의 없다.
정부는 계란 생산량이 오히려 늘었는데 가격이 과도하게 오른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농림축산식품부가 계란 농가를 현장 점검한 결과, 시장 수급 여건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상승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기획재정부도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 결과를 논의하며, 필요시 추가 점검과 제재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최근 브라질산 계란 수입이 AI로 전면 중단되면서, 당분간 공급불안 심리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계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식품 전반, 특히 베이커리류나 외식 메뉴까지 줄줄이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전체 물가 상승을 자극하는 또 다른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계란값 급등은 이미 부담이 커진 서민 경제에 결정타가 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절반 이상이 ‘고물가와 생활비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목했으며, 20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보다 16.4%나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들이 가장 원하는 정책 과제 역시 ‘물가 안정’이었고, 그중에서도 농축산물과 생필품 가격 안정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응답 비율이 높아, 이들이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부담이 크다는 점을 방증했다.
정부는 돼지고기와 계란 등 주요 식재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할인 쿠폰 제공 등 소비자 부담을 덜기 위한 대책도 병행하고 있다. 대형마트들도 마진을 줄이며 가격 안정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여전히 장바구니 물가 앞에서 망설이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계란마저 비싸지면서 가계의 부담이 커졌다”며 “정부가 실질적인 가격 안정 대책을 더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 하나하나의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문제다. 계란값 급등은 소비자의 심리적 피로도를 높이며, 생활의 기본을 위협하는 신호탄이 된다.
정부와 유통업계가 서둘러 가격 안정화를 이뤄내지 못할 경우, ‘만원 계란’은 더 이상 과장이 아닐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일회성 대책이 아니라, 공급망 투명성 확보와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근본적인 해법이다.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장을 볼 수 있는 날이 하루라도 빨리 돌아오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