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조 빚더미 쌓이자 “이대론 안돼” …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초긴장’
||2025.05.25
||2025.05.25
기준금리 인하와 규제 유예가 맞물린 틈을 타, 올해 1분기 국내 가계 빚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7월부터 강화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앞두고 ‘미리 대출받자’는 심리가 가계대출을 밀어 올린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0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1928조 7000억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전 분기보다 2조 8000억 원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한 셈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은행권에서는 주담대가 8조 4000억 원까지 늘며 전체 가계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비은행권은 오히려 대출 규모가 줄었고, 기타금융기관의 정책모기지 순상환도 대출 감소에 일조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작년 말 은행들이 대출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 문턱을 높였지만, 연초에 들어 다시 문이 열리면서 대출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주목할 부분은 4월부터 대출 증가세가 다시 가팔라졌다는 점이다. 1분기까지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흐름이었지만, 4월 한 달 동안 가계대출이 5조 3000억 원 증가하며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흐름에 ‘규제 전 쏠림 수요’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를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된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7월 1일부터 본격 도입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을 통해 대출 문을 다시 좁히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금리 변동 가능성을 감안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에 적용된다.
특히 수도권 주담대의 경우 가산금리가 기존 1.2%에서 1.5%로 오르며, 연 소득 1억 원 기준으로 대출 한도가 수천만 원 줄어든다. 혼합형·주기형 상품은 타격이 더 크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금은 가계부채를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할 시기”라며, “5월에도 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금융당국은 각 금융회사들이 월별·분기별 대출 관리 목표를 얼마나 충실히 이행하는지를 점검하고 있으며, 필요시 ‘정책 개입’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