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감옥서 이 가는 중… 근황 보니 ‘깜짝’
||2025.07.04
||2025.07.04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자신을 둘러싼 사면·복권 가능성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2일 머니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조 전 대표는 최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가 보낸 질의에 대한 답변서를 보냈다.
해당 답변서 속 그는 사면·복권 가능성에 대해 “수형생활 중인 제가 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성급하고 부적절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께서 저의 쓸모가 남아있다고 판단하시면 역할을 주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수형생활에 대한 질문에는 “곧 형기의 3분의 1을 채운다”라며 “내란완전종식, 검찰독재 청산, 일자리·주거·돌봄 등 국민의 생활 고통을 해결하는 방안과 국내외적 위기에 처해있는 제조업 재활 방안 등을 공부하고 고민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그는 취임 한 달을 맞은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서는 “검찰의 집요한 법살(法殺) 시도와 수구기득권 세력의 비방·폄훼를 이겨내고 대통령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룰라(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서로의 등에 손을 대고 걷는 모습을 보는데 참으로 좋았다”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함께 본 기사: '정경호♥' 수영, 한국 떠나 새 출발..."축하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두 사람 모두) 노동자 출신으로 검찰의 공세를 이겨냈다는 공감대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내에서는 조 전 대표의 사면 문제를 두고 입장 차이가 갈리고 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26일 YTN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해 “국민 통합 차원에서, 또 (조 전 대표가) 검찰로부터 가족이 집단적으로 학살당하는 식의 수사를 받았기 때문에 (사면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이와 함께 정성호, 김한규 의원 역시 조 전 대표의 사면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전현희 최고위원은 이들과 다르게 “정권 초 특정인 사면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조 전 대표의 사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조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혐의 등으로 징역 2년형을 확정받고, 서울구치소에 수감됐다.
이후 그는 지난 1월 서울남부교도소로 이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