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싹 다 베꼈다…”심각한 문제”
||2025.07.04
||2025.07.04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충남대 교수 재직 당시 제자들의 석·박사 학위 논문을 사실상 베껴 자신의 논문으로 발표한 정황이 다수 드러났다.
4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제1 저자로 이름을 올린 학술 논문 10여 편이 제자의 학위논문과 제목부터 실험 내용, 결론까지 높은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술지 논문 다수가 제자 논문보다 수개월에서 1년가량 늦게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원논문에 대한 인용 표시 없이 제자의 연구 결과를 사실상 그대로 옮긴 형태였다.
예를 들어, 이 후보자가 2009년 3월 대한건축학회에 발표한 논문 ‘공동주택 야간 경관 조명 사례 조사를 통한 조명 디자인 감성 평가’는 그해 2월 제자 김 모씨 의 석사 논문 ‘공동 주택 야간 경관 조명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와 상당수 내용이 겹쳤으며, 표절률 분석 결과 52%로 나타났다.
두 논문 사이에 동일 문장은 19개, 유사 문장은 73개로 확인됐다.
이 후보자가 지난 2003년 발표한 ‘UGR(Unified Glare Rating)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 주관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역시 1년 전 제자 권 모 씨가 쓴 석사 논문과 제목부터 구조까지 유사도가 매우 높았고, 표절률 43%로 확인됐다.
구글 AI 서비스 ‘노트북LM’은 해당 논문들에 대해 “두 문헌은 제목, 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실험 방법 및 결과, 그리고 결론에 이르기까지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 및 문장 유사성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두 문헌의 핵심 내용이 완벽하게 일치할 뿐 아니라 동일한 표현과 문장 구조가 반복된다”고 덧붙였다.
함께 본 기사: 유명 트로트 가수, "돈 못 받아"... 싹 다 폭로
전문가들은 “교수가 본인을 1 저자로 올리고 제자 논문을 그대로 발표한 것은 심각한 연구 윤리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 지역 한 사립대 교수는 “교수가 학생에게 논문의 아이디어나 주제를 제공했다 해도 연구에 가장 기여한 것은 학생이기 때문에 그걸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할 때도 1 저자는 학생이 되어야 한다”며 “지도 교수가 본인을 ‘1 저자’로 올린 것은 제자 연구를 본인의 연구 성과로 꾸민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자는 또 지난 2018년, 실험 설계와 결론이 거의 동일한 논문을 한 달 차이로 서로 다른 학술지에 발표했음에도 서로 간 인용을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학술계에서 ‘부당 중복 게재’로 간주되는 심각한 윤리 위반이다.
이 후보자 측은 4일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본지 질의에 “해당 사항은 인사청문회를 통해 해명하겠다”고 답변하는 데 그쳤다.
한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는 오는 16일로 예정돼 있으나, 인사청문요청안은 현재까지 국회에 제출되지 않았다.
법적으로 인사청문요청안이 제출돼야만 청문회 일정을 확정하고, 후보자의 학력, 경력, 재산 등 주요 자료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다.
국회 교육위원회 야당 간사인 조정훈 의원(국민의힘)은 “인사청문요청안은 국회에 도착도 안 했는데, 청문회를 못 박았다”며 “법이 정한 ‘자료→협의→일정’ 순서를 뒤집었다. 능력을 검증할 기본 자료도 없는데 무슨 근거로 날짜부터 정하라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