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결국 日에 패배… 뼈아픈 결과
||2025.07.08
||2025.07.08
한국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이하 세계유산위)에서 일본의 ‘군함도(端島)’ 관련 후속 조치 미이행 문제를 정식 의제로 채택하려 했으나 표결 끝에 무산됐다.
지난 7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 제47차 회의에서는 일본의 메이지 산업유산(군함도 포함) 관련 후속 조치 이행 평가를 정식 안건으로 채택할지를 두고 21개 위원국의 표결이 진행됐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2015년 일본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전체 역사를 보여주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한 뒤, 해당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해 왔다.
특히 일본은 도쿄에 정보센터를 설치했지만,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 사실을 왜곡하거나 부인하는 내용이 전시돼 논란을 키웠다.
이날 회의에서 하위영 외교부 유네스코협력 TF팀장은 “세계유산위가 요구한 ‘전체 역사를 보여주라’는 결정을 일본이 따르지 않고 있다”며 “도쿄의 산업유산정보센터 자료는 많은 조선인 등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노역한 역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데 이는 사소한 누락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함께 본 기사: '쌍둥이 임신' 女배우, 결국 이별…팬들 오열
이에 일본 대표는 “일본은 후속 조치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며 “세계유산위 밖에서 한·일 양자 차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안건 채택 여부를 두고 일본의 요구로 비밀투표가 실시됐다.
그 결과, 일본이 제출한 군함도 문제를 제외한 수정안이 찬성 7표, 반대 3표, 무효 3표, 기권 8표로 최종 채택되며, 한국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8일 “근대산업시설 관련 의제가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않게 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우리 정부는 일본이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해 스스로 한 약속과 이 약속이 포함된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계속 제기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외교 소식통은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군함도 문제를 양자 간 사안으로 제한하려는 전략이 성공했다”며 “한국은 다자외교의 지렛대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