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모르면 100만 원 손해 봅니다” … 2025년 놓치면 아까운 ‘정부 지원금’
||2025.07.09
||2025.07.09
2025년에도 당신이 놓치고 있을지 모를 정부 혜택이 가득하다. 교통비를 돌려받고, 목돈을 만들며, 문화생활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조건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제도들이지만, 의외로 많은 이들이 신청 시기를 놓치거나 자신과 무관하다고 여겨 무심코 지나친다.
이 기사를 통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숨은 정부 지원금과 기부 혜택까지 꼼꼼히 정리해봤다.
가장 먼저 주목할 제도는 K-패스다.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사람에게 일정 비율로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제도로, 일반인은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무려 53%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달에 7만 원을 쓰는 청년이라면 약 2만 1천 원을 환급받는다. 신청은 카드사나 K-패스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청년도약계좌는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금융상품이다. 만 19~34세 청년이 매월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하면, 정부 기여금과 이자를 포함해 약 5,0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은행별로 추가 혜택이 다르니 가입 전 꼼꼼한 비교가 필요하다.
소득이 낮은 가구에는 근로·자녀장려금이 있다. 정기 신청은 매년 5월이지만, 이후 6개월간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감액된 금액으로 지급되므로 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다.
문화누리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연간 13만 원의 문화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공연, 영화, 전시 관람뿐 아니라 도서 구매와 여행, 스포츠 관람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숨은 혜택’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고향사랑기부제다. 자신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에 기부하면 세액공제와 함께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2025년에도 활발히 운영될 예정이다.
10만 원을 기부하면 그 전액이 세액공제되고, 추가로 최대 3만 원 상당의 지역 특산품도 받을 수 있다. 즉, 기부하고 실질적 비용 부담은 없으며, 지역 농산물이나 특산품은 보너스로 챙길 수 있는 셈이다.
10만 원 초과분도 16.5%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이외에도 청년 구직 지원금, 전월세 대출 이자 지원, 소상공인 정책자금, 아동수당, 에너지바우처 등 수많은 맞춤형 제도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하고, 보건복지부 ‘복지로’나 각 지자체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정부지원금은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자.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지금이라도 확인해 보는 것이 현명한 첫걸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