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아닌 ‘北 주적’ 논쟁… 청문회 ‘난장판’ 됐다
||2025.07.17
||2025.07.17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때아닌 ‘북한 주적’ 공방이 벌어졌다.
16일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김영훈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앞서 지난 14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북한은 대한민국의 주적’이라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김 후보자에게도 ‘대북관’을 묻는 질의가 집중됐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이 포문을 열자 김 후보자는 “북한이 주적이 아니라고 어제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말씀하셨고, 거기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이 같은 주장에 국민의힘 측은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하는 등 압박을 가했고, 여야 공방은 고성으로 치달았다.
보다 못한 안호영 환노위원장은 “인사청문회응 후보자로서 자질과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국민을 대신해 검증하는 자리”라며 “명확하게 본인의 소신가 입장을 밝혀 달라”고 중재에 나섰다.
함께 본 기사: '의사♥️' 서현진, 강남 사는 子에 돌직구..."우리 가난해"
이에 김 후보자는 “제가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이다 보니 이런 질문을 하신 걸로 이해한다”며 “북한은 군사적으로 적대적이지만 교류협력의 대상이라고 하는 이중적 지론에 입각해서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말씀과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씀드렸다”고 해명했다.
이에 야당 측은 ‘주적’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대한민국을 위협하면 주적이고, 북한에서 미사일을 종종 쏘면서 우리를 위협하는데, 그렇다면 김정은이 주적 맞지 않나”라는 반문이 계속되자, 김 후보자는 끝내 “예 맞습니다”라고 응수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를) 민생이 백척간두인데 부처와 관계도 없는 철 지난 색깔 논쟁의 장으로 전락시켰다”고 쏘아붙였고, 국민의힘은 “국무위원으로서 국가 간 정체성 질의는 당연히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받아쳤다.
국힘 측은 정회를 요청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급기야 집단 퇴장 사태가지 벌어졌다.
민주당은 국힘 측 의원들이 퇴장하자 단독으로 청문회 진행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