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또 고개 숙였다… 90도 폴더 인사에 오열
||2025.07.17
||2025.07.17
이재명 대통령이 세월호·이태원·무안 항공·호송 지하차도 참사 등의 희생자 유가족에게 사과를 전했다.
지난 16일 이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에 참석했다.
그는 참사 유족 200여 명을 초청해 대화를 나누며 “국가의 1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데,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그 자리에 있지 못했다”며 “생명보다 돈을 더 중시하고, 안전보다 비용을 먼저 생각하는 잘못된 풍토 탓에 죽지 않아도 될 사람이 죽는 일이 발생했다”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한 뒤 고개를 숙였다.
국정 최고 책임자의 공식 사과에 일부 유족은 흐느꼈고,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는 이들도 있었다.
함께 본 기사: 중국 배우 손빈, 자택서 사망… 안타까운 비보 ‘팬들 눈물’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이 사죄의 말씀으로 떠난 사람들이 돌아올 리도 없고, 유족의 가슴에 맺힌 피멍이 사라지지도 않겠지만 다시는 정부의 부재로 국민이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일이 벌어지지 않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또 그는 “이런 자리를 오래 기다리셨을지 모르겠다. 충분한 진상규명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고 충분한 배상이나 포상, 사과나 위로가 없었다는 생각도 드실 것”이라며 “여러분의 아픈 말씀을 듣고 필요한 대책을 국민과 함께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모두발언이 끝난 뒤 최은경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가 “재난 이후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한 채 모든 일을 스스로 감당해야 했다”며 “소통의 자리를 만들어줘 감사드린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최 공동대표는 재난 원인 조사 및 국정조사 추진과 책임자 엄중 처벌 및 지방 정부 지원, 재난 유가족 지원 매뉴얼 법제화, 추모비 및 추모 공간 조성, 심리 회복 프로그램 등을 요청했다.
또 최 공동대표는 “실종자 가족 대상 1대 1 안내 인력, 현장 유가족 보호 조치, 병원 안내 창구 설치, 공동 분향소 장례 기준 마련 등을 전국 공공기관에 의무해 달라”는 요구를 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유가족 요청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답변을 위해 강희업 국토교통부 제2차관,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 등 여러 관계자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