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청와대 복귀… 세금 ‘259억’ 또 쓴다
||2025.08.04
||2025.08.04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 집무실로의 복귀를 공식화하며, 8월 1일부터 청와대 일반 관람이 전면 중단됐다.
지난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정부가 용산 이전과 함께 청와대를 개방한 이후 약 3년 2개월 만이다.
청와대재단은 “종합적인 보안·안전 점검과 시설물 보수를 위해 청와대 관람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영빈관, 본관 앞, 구본관터, 녹지원 등 외부 동선만 제한적으로 공개되던 청와대 관람은 이날부터 전면 금지됐다.
이번 조치는 이재명 정부의 청와대 복귀 계획에 따른 사전 정비의 일환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복귀를 위한 예비비 259억 원 편성을 의결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 당시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소요된 378억 원보다 119억 원(약 31%) 줄어든 금액이다.
함께 본 기사: '케빈오♥' 전역하자마자 韓 떠난 공효진, '이민설'에 입장 발표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청와대 복귀를 공약해 왔다.
취임 후 조기 대선 일정에 따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정을 시작했지만, 청와대에 대해 “상징성과 문화적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사용을 꺼릴 이유가 없다”며 복귀 의사를 거듭 밝혀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용산 대통령실은 도청·경호 등 보안상 취약하고 아파트 숲에 둘러싸여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청와대 복귀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한편,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 마지막 날인 지난 2022년 5월 10일부터 민간에 개방되어, 지난 6월까지 누적 관람객 783만 명을 기록하며 서울의 대표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대통령 복귀가 구체화되면서 지난 7월 16일부터 실내 관람이 제한됐고, 이달 1일부터는 본관과 관저를 포함한 전 구역의 관람이 전면 중단됐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보안 점검과 시설 개보수를 마무리한 뒤, 일부 공간이라도 국민에게 다시 개방할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