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중에 날린 장문 카톡… 다음 날 후회된다면 이제 지울 수 있다
||2025.08.13
||2025.08.13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이 5분에서 24시간으로 늘어났다.
술김에 장문 카톡을 보냈는데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후회로 얼굴이 달아오른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혹은 밤 감성에 취해 용기 내 보냈던 메시지가 다음 날에는 이불킥을 부르는 민망함으로 돌아온 적도 있을 것이다. 예전에는 전송 후 5분 안에만 삭제할 수 있어 그 짧은 시간을 놓치면 메시지는 그대로 남았다. 하지만 이번 개편으로 이런 불편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카카오는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을 기존 ‘전송 후 5분 이내’에서 ‘24시간 이내’로 대폭 늘리는 업데이트를 단행했다고 12일 밝혔다. 2018년 8월 메시지 삭제 기능을 처음 도입한 이후 약 7년 만의 개편이다.
메시지 삭제 기능은 발신자의 발송 실수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전에는 전송 후 5분 안에만 삭제할 수 있었고 상대방이 이미 읽었더라도 텍스트·이미지·영상·이모티콘 등 모든 메시지를 지울 수 있었다. 삭제 시 발신자와 수신자 화면에 ‘삭제된 메시지입니다’라는 문구가 말풍선 형태로 표시돼 누가 삭제했는지 쉽게 알 수 있었다.
이번 업데이트로는 전송 후 24시간 안에만 삭제할 수 있도록 변경됐으며 표기 방식도 바뀌었다. 이제는 말풍선 대신 ‘피드 표기’ 방식으로 삭제 사실만 표시돼, 1대 1 대화방이 아닌 이상 누가 메시지를 지웠는지 알 수 없다. 카카오는 “대화의 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소통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삭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능은 카카오톡 버전 25.7.0부터 적용되며, 기기와 운영체제(OS)별로 순차 배포된다.
카카오는 올해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편의 기능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나와의 채팅’을 메모장처럼 쓸 수 있는 말풍선 태그 기능을 도입했고, 3월에는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이미지 수를 30장에서 120장으로 확대했다. 특정 친구의 메시지만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했다.
지난 6월에는 ‘스포일러 방지’ 기능도 새롭게 선보였다. 영화 결말이나 스포일러츠 경기 결과처럼 바로 보고 싶지 않은 내용을 가려서 보낼 수 있는 기능으로 메시지 입력창에서 가리고 싶은 부분을 길게 누르면 ‘스포 방지’ 버튼이 나타난다. 적용된 메시지는 블러 처리돼 전송되며 수신자가 클릭해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후 채팅방을 나갔다 다시 들어가도 블러 상태가 유지된다. 말풍선 하나당 최대 10개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 주소·계좌번호 등 민감한 정보도 가릴 수 있다.
이번 개편으로 이용자들은 잘못 보낸 메시지에 대한 불안이 한결 줄어들고 대화 속 민감한 내용이나 보고 싶지 않은 정보도 상황에 맞게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매일 보는 나만의 운세 리포트! 오늘 하루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