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안에 불법 구조물 끝내 ‘’철거 거절에 접근까지 막는다는‘’ 중국
서해 잠정조치수역의 특별한 의미와 중국 구조물 설치 배경
- 서해 잠정조치수역은 한중 양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민감한 해역으로, 2000년 한중 어업협정에 의해 공동 관리되고 있다.
- 이 구역에서는 어업 외 시설물 설치나 자원 개발이 금지돼 있으나, 중국은 2018년 ‘선란 1호’로 불리는 직경 70m, 높이 71m 이상의 대형 해상 구조물을 설치했다고 발표했다.
- 중국은 해당 구조물을 심해 연어 양식을 위한 이동식 양식 시설이라고 주장하지만, 석유 시추선 형태의 고정 구조물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중국 구조물 확장과 한국 해양 조사선과의 대치 사건
- 2022년부터 중국은 선란 1호 인근에 석유 시추 구조물 형태의 고정 시설을 설치했고, 이를 관리 시설이라 주장하며 계속 확대했다.
- 2025년 2월,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현장 조사를 위해 접근하자 중국 측 경비선이 방해하며 대치 상황이 벌어졌다.
- 중국은 우리 정부의 현장 조사와 철거 요구를 거부하면서 상황이 악화됐고, 한국 정부도 비례 대응 조치를 검토하는 상황이다.
한국 정부의 대응과 비례 대응 검토
- 한국 정부는 중국 측에 구조물 철거 및 수역 밖 이동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며, 국제법과 한중어업협정에 따른 정당한 권리 행사라 주장한다.
- 그러나 중국은 ‘자국 내해화 전략’의 일환으로 잠정조치수역에서의 군사적·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있으며, 관리 시설을 추가 설치하고 해상 항행금지구역도 설정하는 등 실질적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 이에 우리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 협의와 병행해 서해 잠정조치수역 내에 유사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보복성 비례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며, 해양 안보 강화 차원의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국제법적 쟁점과 해법 모색
- 잠정조치수역은 배타적경제수역이 겹치는 구역으로 자원 개발과 시설 설치에서 양국 간 합의가 필수적이다.
- 중국의 일방적 구조물 설치는 국제 해양법과 한중 협정 위반 논란을 일으키고, 해양 분쟁의 평화적 해결에 장애를 초래한다는 비판이 있다.
- 전문가들은 양국이 상호 협력과 대화로 해역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유엔 해양법협약(UNCLOS)을 근간으로 하는 국제 규범 존중을 촉구한다.
지역 해양 안보와 경제적 영향
- 중국의 구조물 증설과 관리 시설 운영은 한국 측 선박 및 해양 조사선의 접근 제한을 야기, 실질적인 해양 주권 침해로 작용한다.
- 잠정조치수역은 풍부한 어장과 연안 자원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고, 군사적으로도 해상 통제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다.
- 구조물 확장은 해상 통제력을 통한 지역 해양 안보 균형의 변화를 예고, 한중 및 동북아 해양 질서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의 구조물 설치, 해양 주권과 지역 안보에 중대한 도전
- 중국의 서해 잠정조치수역 내 구조물 설치는 잠정적 협력 구도를 흔드는 도전이며, 한중 해양 분쟁의 심각한 불씨다.
- 우리 정부는 국제법과 다자 협력 틀을 기반으로 중국의 불법 행위에 대응하며 해양 주권을 지키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 비례 대응을 포함한 실효적인 전략 수립과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다.

본 서비스는 패스트뷰에서 제공합니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