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유성, 끝내 ‘연명치료 거부’→사망…연예계 큰 슬픔
||2025.09.26
||2025.09.26
‘개그계 대부’로 불리는 코미디언 전유성이 폐기흉 악화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
25일 전유성은 폐기흉 증세 악화로 치료를 받고 있던 전북 전주 전북대 병원에서 오후 9시 5분께 생을 마감했다. 그는 연명 치료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유성의 애제자인 코미디언 김신영은 그의 곁에서 끝까지 간호를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시 방송코미디언협회는 전유성이 위독해지자 협회원들에게 ‘1~2분 내외의 영상편지를 휴대폰으로 찍어 보내달라’라는 긴급 공지를 내기도 했다.
고인의 장례는 코미디언협회장으로 치러질 예정에 있다. 다만 빈소와 장지는 현재 정해진 바 없다.
협회 관계자들은 “지금 유족 분들께서 장지를 어떻게 할지 논의 중이다. 서울로 올라가서 장례식을 치를 예정이라 이동에 관한 것을 논의 중인데 장지와 장례식장을 어디로 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한편, 전유성은 지난 1969년 방송 작가로 방송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유머 1번지’, ‘개그콘서트’ 등을 통해 다양항 코미디로 시청자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더불어 코미디언 지망생들을 모아 양성하고 이들에게 무대에 오를 기회를 주는 등 후배들 사이에서도 신망이 두터워 ‘개그계 대부’라는 수식어로 불렸다.
희극인이 그저 코미디언이라고 불리던 시대에 ‘개그맨’이라는 단어를 최초로 사용한 인물로도 알려졌다.
그는 ‘1주일만 하면 전유성만큼 한다’ 시리즈와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조금만 비겁하면 인생이 즐겁다’, ‘하지 말라는 것은 다 재미있다’ 등 여러 저서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