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국보에 엉덩이 댔다…제보 등장
||2025.10.23
||2025.10.23
김건희 여사가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근정전 내부에 들어가 국보 223호 임금의 어좌에 앉았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김 여사가 어좌에 왜 앉았나”, “누가 앉으라고 했나” 등을 추궁했지만, 정 사장은 한동안 “기억이 잘 안 난다. 잘 모르겠다”고만 답변했다.
이에 대해 김교흥 문체위원장은 “당시 현직 행정관으로 김 여사 옆에 있지 않았나. 대한민국 국민 가운데 누구도 용상에 앉아본 적이 없다. 그런데 (김 여사가 어좌에 앉은 사실을) 왜 기억을 못 하냐”며 강하게 질책했다.
결국 정 사장은 “본인이 가서 (어좌에) 앉으셨지 않을까 싶다”며 “계속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어좌에 앉았던 시간은) 1~2분 정도”라고 털어놨다.
어좌는 경복궁 근정전 중앙에 위치한 임금의 자리로 현재 일반 관람객은 어좌가 위치한 건물 내부는 물론 월대(기단부)에도 접근할 수 없다.
이어진 질의에서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 위원장이 김 여사에게 어좌에 앉아보라고 권유했나”라고 물었고, 정 사장은 “그러지 않으셨을까 (싶다)”고 답했다.
이 의원이 다시 “이 전 위원장이 (어좌에) 올라가라고 했기 때문에 김 여사가 올라간 것 아니냐”고 묻자 정 사장은 “상황이 그렇다”며, 이 전 의원장이 권유한 사실을 인정했다.
한편, 주진우 시사인 편집위원은 같은 날 김 여사가 경회루 2층에 슬리퍼 차림으로 맨발에 선글라스, 민소매 원피스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의 사진을 공개해 파장을 일으켰다.
경회루 2층 역시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다.
이에 대해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김 여사가 (경회루는 물론) 근정전과 흥복전 내부도 둘러봤고 최응천 당시 문화재청장과 경복궁 관리소장이 동행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