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역 성매매 골목이 아직도 안 없어지는 소름돋는 이유
||2025.11.06
||2025.11.06
서울 영등포역 대로변, 소방서와 타임스퀘어가 모여 있는 도심 한가운데 성매매 집결지가 2025년인 현재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버티고 있다. 성매매가 불법인 한국에서 이곳은 일제 강점기인 1916년부터 시작된 역사적 골목이지만, 유독 영등포만은 다른 주요 집결지(청량리 588, 미아리 등)가 재개발로 사라진 것과 달리 2020년 재개발 소식이 들려온 이후에도 조합 설립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집결지가 청산되지 못하고 버티는 배경에는 재개발 추진 위원장 홍 모 씨가 있었다. 그는 재개발 예정 토지와 건물을 직접 소유하며 업소를 운영하던 ‘포주’였다. 심지어 2013년에 주변 땅과 건물을 추가로 매입하며 집결지 폐쇄의 중심에 성매매 관계자가 자리 잡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었다.
논란이 일자 구청, 경찰, 지역구 국회의원 모두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했다. 구청은 단속 주체를 경찰에, 경찰은 추궁할 자료가 없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국회의원은 업주 본인이 재개발 사업을 주도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이라며 무책임한 발언을 했다.
결국 한 지원 센터가 2021년 홍 씨를 포함한 건물주 50명을 성매매 특별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1년 반의 수사 끝에 기소된 것은 단 3명뿐이었으며, 홍 씨는 종업원의 증언이 인정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재개발을 이끌어야 할 대표가 성매매 특별법 위반으로 실형을 받게 되자, 결국 사업은 조합 설립 단계에서 완전히 멈춰버린 상태다.
현재 영등포 집결지에는 지자체, 경찰, 시민단체가 함께 폐쇄와 종사자 지원을 논의하는 ‘지역 협의체’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다. 구청은 재개발 완료 시점까지 영업 지속 여부에 대한 단속 책임을 수사기관(경찰)으로 미루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파주나 영주처럼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의지를 갖고 행정 대집행 같은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가가 만들고 모두가 책임을 미루는 사이, 영등포 성매매 집결지는 이익만 좇는 공간으로 방치되고 있다. 지원 센터는 최근 건물 및 토지 소유자에 대한 2차 고발을 접수하며 이 문제의 해결을 촉구했다.
